Surprise Me!

[뉴있저] '수학인듯 과학인듯' 국어 같지 않은 국어문제 / YTN

2022-11-18 28 Dailymotion

올해 고3 수험생은 지난 고등학교 3년을 오롯이 코로나19 대유행 속에 보냈습니다. <br /> <br />비대면 수업이라는 초유의 상황을 겪으며, 힘들었던 수험생활이 이제 끝났는데요. <br /> <br />수능이 끝나자, 수험생들은 수능과 관련된 반응을 SNS에 쏟아냈습니다. <br /> <br />그중에서도 '국어 같지 않은 국어 문제'가 단연 화제였는데요. <br /> <br />조금 리포트에서도 소개된 국어 17번 문항입니다. <br /> <br />게딱지 폭을 이용해 큰 집게발의 길이를 추정하는 방법은? <br /> <br />질문부터 심상치 않은데요. <br /> <br />일단 길이부터 9문단으로 굉장히 길고요. <br /> <br />상용로그, 편차 제곱 합, 클라이버의 법칙 등 생소하고 어려운 수학, 과학 용어들이 등장합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문항에 나온 5개 보기항목도 기울기와 곡선, 직선 등 그래프에 대한 수학적 해석 능력을 요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'지문 내용을 잘 알고 있는 이과생에게 유리하게 작용했을 수 있다'는 평가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비단 올해 수능뿐만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최근 변별력을 위해 이렇게 과학인지 국어인지 모를 지문이 등장하면서, 논란도 잇따랐는데요. <br /> <br />이와 비슷한 유형으로 출제된 지난 2019학년도 수능 국어 31번 문제입니다. <br /> <br />오답률이 82%에 육박하며 결국,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이 사과하기도 했는데요. <br /> <br />일부 수험생들을 당황하게 한 건 시험문제 말고 또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대전에서는 방송 문제로 영어 듣기평가가 10분 늦게 시작돼 수험생들의 항의가 이어졌고요. <br /> <br />전북 남원에서는 감독관의 실수로 시험이 5분 늦게 시작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수험생들의 반입금지 물품을 수거 하던 감독관이 1교시 시험 시작 종소리를 듣지 못한 건데요. <br /> <br />결국, 이 시험장에선 2교시가 끝난 뒤 1교시 문제를 5분간 다시 풀게 하는 촌극도 빚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, 저런 문제가 불거졌기 때문일까요? <br /> <br />시험관리에 대한 불만이나 수능 문제에 이의를 제기하는 의견은 하루 만에 100건 가까이 접수됐습니다. <br /> <br />수능 이의신청은 사흘 뒤인 오는 21일 오후 6시까지, 평가원 이의신청 전용 게시판을 통해 할 수 있는데요. <br /> <br />평가원은, 이의신청 의견들을 심사해 오는 29일, 최종 정답을 발표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윤보리 (ybr0729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1118195927797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